일왕 암살을 계획하였던 가네코 후미코(金子文子)가 오는 지난 17일, 92년 만에 독립유공자로 서훈(敍勳)됐다.
부부 유공자가 탄생한 배경에는 지난해 영화 「박열」 개봉에 따른 국민들의 지지와 새로 축적된 연구 성과들을 바탕으로 지난 4월 박열의사 기념관특이 가네코 후미코에 대한 독립유공자 포상신청서를 제출하면서 시작됐다.
가네코 후미코는 1903년 일본의 가나가와(神奈川県)현 요코하마(橫浜)에서 출생하여 시 아버지가 그녀를 입적시키지 않아 무적자(無籍者)로 친척집을 전전하며 힘든 시기를 보내야했다.
이후 고모의 양녀로 들어가 충북 청원군 부용면(현재 세종시 부강면)에서 약 7년 동안 모진 학대를 당하다1919년 3 ․ 1 운동 당시 조선인들의 독립의지에 크게 감명을 받아 그해 일본으로 돌아와 여러 사상가들과 교우하여 아나키스트가 되었다.
그녀는 1922년 3월 도쿄에서 박열을 만난 뒤 재일조선인 아나키즘 항일 운동에 투신, 필명 박문자(朴文子)로 활동하며 독립운동을 옹호하고 일제의 탄압 정책을 비판하고 이면으로는 일왕 부자를 폭살하고자 박열을 도와 의열단(義烈團)과 연계한 폭탄 반입을 추진하였다.
이후 체포되어 대역죄(大逆罪)로 사형 판결을 받았으며,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자 1926년 7월 23일 생을 마감하였다.
당초 그녀의 묘는 문경읍 팔영리(現 산 58-1번지)에 조성되었으나, 일제의 철저한 감시 속에 방치된 채 잊혀졌으나 973년 아나키즘 독립지사들이 뜻을 모아 묘역을 정비하고 기념비를 세웠으며, 2003년 박열의사기념공원 조성과 더불어 현 위치로 이장했다.
그동안 박열의사 기념관에서는 지난 2003년부터 일본의 가네코 후미코 연구회와 교류하여 매 홀수 년 7월 23일 가네코 추도식을 열고 있으며 짝수 년에는 일본의 야마나시에서 열린다.
이번 포상에 대해 박열의사 기념관 관계자는 "부부 독립운동가를 모시는 현충시설이 된 것에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며, 앞으로 기념관 리뉴얼, 자료수집과 공개 강연회, 학술세미나 등을 개최하여 국민의 기대에 부응할 것이며 기념관으로서의 가치와 의미 창출에 정진할 것이다," 고 밝혔다.
한편 그 동안 박열(朴烈)의 지원자로서만 그 역할이 알려졌던 가네코 후미코는 당당히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로서 이름을 드러내게 됐다.